걷다가 다시 생각한다.
자연은 아름답다.
물과 나무와 바람이 아름답다.
바람은 물을 밀어내 파도를 만들고 나무는 바람에 흔들린다.
바람에 흔들린 나뭇가지에서 나뭇잎이 떨어져 물과 닿는다.
물에 작은 파문이 일고 흐르는 물을 따라 점차 사라진다.
이 흐름이 아름다운 이유는 끊임없는 변화에 있다.
늘 변화하는 것들, 빛에 색을 달리하는 모든 것들은 아름답다.
인간이 만들어 낸 빛은 사람들을 현혹시킨다.
하지만 인공의 사물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한다. 스스로 살지 못한다.
자연이 아름다운 이유는 그것이 살아서 변화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빛을 받는 존재이면서도 스스로 빛을 발하는 존재다.
살아있는 자연이 아름다운 이유는 그들이 그들 자신에 몰두해 있기 때문이다.
몰두해 있다는 것은, 인간이 말하는 이기의 마음과 달리,
내부를 바라보는 동시에 외부로도 열려있는 무엇이다.
안으로는 생장에 모든 정성을 다하면서도, 바람, 비, 태풍과 번개와같은 천재지변을 받아들인다.
그것에 뜻을 알 수 없는 아름다움이 있다.
의미를 알 수 없다는 것은, 말로 전달할 수 없다는 것일 뿐이다.
의미를 전할 수 없다고 아름다움이 무효가 되지는 않는다.
예술이 거기에서 탄생한다.
아름다운 것을 알지만, 그 아름다움을 전할 길이 없어서,
노래로, 그림으로, 글로 그것을 표현하고자 한다.
그것이 아름답다는 것을 다른 사람이 알아들을 수 있는
의미있는 언어로 표현할 길을 찾고자 한다.
그것이 예술가의 마음이다.
모두 느낄 수 있고, 알 것 같지만
결코 표현되어 본 적 없는 것을 표현하는 자, 그들이 예술가이다.
예술은 언어의 기원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아름다움은 자연에 머물 필요가 없다.
예술-언어로 표현된 적 없는 무언가에서 아름다움을 느낀다면,
그 대상은 무엇이든 가능할 것이다.
현대의 기괴한 예술은, 작가들이 기괴한 세계 속에서 발견한 아름다움의 언어적 표현인 것이다.
내가 말하고 싶은 것은 자연의 아름다움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이란,
내부에서 촉발된 무한한 생명력
그리고 외부와 끝없이 반응하는 적응력
자연은 그 관계 속에서 감정이 없다. 무심하다.
무심함을 무정 또는 비정함 같은 단어와 연결지어 생각해서는 안된다.
비인간이라는 단어는 인간적이지 않은 것일 뿐, 비-자연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센느강에는 백조가 산다. 백조는 나에게 무심하다.
염소도, 고양이도, 비둘기도 나에게 무심하다.
길게 뻗은 자작나무들이 무심하게 바람결에 흔들리며
오로지 그들의 생장에만 관심을 두는 것처럼,
염소는 염소 나름대로, 고양이는 고양이 나름대로, 비둘기는 비둘기대로
자신의 시간을 산다.
인간만이 다른 존재에게 관심을 얻고자 하고
그들이 목격한 아름다움을 누군가에게 전하고싶어 쩔쩔 맨다.
인간은 자연이 그러한 것처럼 무심할 수 없는 것일까.
인간의 의식이 스스로를 자연으로부터 독립된 존재로 여기게 만들고
자연의 일원이 아닌, '관찰하는 자'로 지위로 스스로를 추대했기 때문일까.
관찰하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인간은 자연을 지배하게 되었지만,
자연으로부터 너무나 멀리 분리되었기 때문에 불행한 것이 아닐까.
자연과 인간을 다시 잇는 무언가. 신과 사람을 중매하던 샤먼처럼.
그 경계에 서서 경계의 예술-언어를 만들고 싶다.